육아에 대한 좋은 글, 영상을 보고도 자꾸 잊어버리는 나를 위해 만든 카테고리.
채널A 육아 프로그램 오은영 박사님 강의 정리하기로 시작한다.
요즘 가족 금쪽 수업
1교시- 부모인데 왜 그랬을까?
"부모의 깊고 따뜻한 사랑을 경험한 아이들은 부모가 곁에 없어도 편안합니다.
그러나 이런 사랑을 받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부모가 곁에 있어도 불안합니다.
어떤 경우는 부모가 곁에 있어서 더 불행합니다."
통제하는 부모.
엄마 기준 행복의 잣대를 두고 자식을 통제하려고 하는 행동 "이게 다 너 잘 되라고 한 거야" 엄마들의 흔한 착각.
일상의 모든 것을 통제당한 자녀는 부모를 사랑하면서도 동시에 미워하게 된다.
적당한 통제는 필요하지만 과도한 통제는 상대를 굉장히 힘들게 한다.
혹시 "침습적으로 내가 자녀를 통제하고 있진 않은지 스스로를 한번 돌아보아야" 한다.
부모에게 상처 받은 경험이 있다면,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와 그 영향까지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부터 극복은 시작된다.
"부모를 미워해도 괜찮아" 토닥토닥.
그 마음을 가졌다고 내가 나쁜 사람이 되는 게 아니다.
아이가 겪는 어려움. 혹시 나의 영향은 없었을까? 이걸 알아차려야 한다.
이것이 부모 탓이라는게 아니라,
아이가 힘들어 하는 면이 있거나 내가 이 아이를 다루기 어려운 면이 있다면 "내가 아이에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을까" 돌아보아야 한다. 이 알아가는 과정은 굉장히 중요하다.
차별하는 부모.
부모는 차별이 아니라고 하지만 어린아이 입장에서 아이 자신이 차별이라고 느꼈으면 그게 맞다.
차별 받은 아이는 어떤 어른이 될까?
내가 어린시절 차별을 받고 자랐다면, 내가 못나서 사랑을 받지 못한 게 아니라 부모가 불완전한 면이 있기 때문에 해결하지 못한 부모의 문제가 자식에게 상처를 남긴 것.
내 탓이 아니라 부모 그들이 갖고 있는 그들의 문제이다.
부모와 한 발짝 떨어져 그냥 한 인간으로 바라보고 이해해보려 노력해보자.
인간으로서 이해해보는 과정을 가지지 않으면 미성숙한 부모의 문제로 차별 받은 것이 나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고, 자존감이 떨어지게 된다.
나와 부모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이해해 보는것은 가치 있는 삶을 잘 살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다.
막말하는 부모.
자식에게 상처를 주는 부모의 말. 아이의 문제를 고쳐주고 싶어 따끔하고, 강력하게 말하면 바꿀 거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부모의 착각이다.
평소에 아이와 부모의 관계가 편안하면 아이들이 어쩌다 부모로부터 상처 받는 말을 들어도 평소에 쌓아왔던 좋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잘 소화해 나간다. 부모도 인간이니까 실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계가 견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처 주는 말을 하게 되면 그건 공격이라고 받아들인다.
부모의 막말에 다친 어른이라면 부모를 바꾸려고 하지 말고 그냥 "그랬노라"라고 말해보는 것도 좋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고 그 내면에는 미성숙함이 있다. 부모가 자식을 사랑하고 안하고의 문제가 아니라 전달하는 화법이 다른 것이라고.
상처를 직면하고 극복해 나가려는 노력. 이것이 인간의 성장이다. 인간은 성숙의 과정을 통해 내면에 있는 불안을 잘 다루어 나가는 것이다.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
정서와 사회성은 후천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지금부터도 바꿀 수 있다.
말을 통해 생각과 감정을 주고받는다.
"있는 그대로의 너를 사랑해", "네가 내 자식이어서 너무 행복해"
오글거림을 극복하고 해야 한다. 어린 시절을 떠올려 보면 우리가 모두 늘 듣고 싶었던 말이다.
말로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 눈높이에 맞는 칭찬과 격려.
완벽한 가족을 만들고 싶다면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
부모와 이런 기억이 필요하다.
부모로부터 따뜻함을 느꼈던 기억들, 행복을 느꼈던 기억들.
이 따뜻한 기억들이 살면서 좌절이 찾아오고 힘들 때 그걸 견뎌낼 수 있는 힘을 준다.
부모와의 따뜻하고 좋은 기억은 평생을 지키는 힘이 된다.
'육아 > 육아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은영 박사 금쪽 수업 2화- 맞춤형 부모 수업 (0) | 2021.06.01 |
---|